• 최종편집 2022-08-11(월)
 


[한국급식산업신문] 한지애 기자 =  흔히 비브리오 패혈증은 여름철에만 발생하는 질병으로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가을과 초겨울 사이에도 환자가 꽤 발생을 한다.

 

비브리오.jpg

 

2019년 우리나라에서 비브리오패혈증으로 3명이 사망을 하였다. 사망자 모두 간 질환과 알코올중독, 당뇨병 등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이었다.

 

 

주로 오염된 어패류나 상처 난 피부를 통해 감염돼

 

중국 매체 시나닷컴에 의하면 얼마 전 60대 남성이 비브리오 패혈증균에 감염돼 목숨을 잃었다. 보도에 따르면 새우를 손질하다 손가락이 찔렸는데, 이 원인으로 감염이 되어 고열과 복통에 시달리다 결국 사망했다고 한다.

 

사망 전 그의 오른쪽 다리는 심하게 붓고 검붉게 변했으며, 중환자실로 옮겨져 항생제 투여와 함께 괴사조직 제거 수술을 받았지만, 다발성 장기 부전을 이기지 못하고 사망했다.


비브리오 패혈증은 보통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상처 난 피부에 미생물이 감염되어 급성으로 감염되는 질병인데, 감염 시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그리고 증상 발현 후 24시간 내 피부 병변이 발생한다.

 

 

어패류는 끓여서 먹고, 해산물을 다룰 때는 장갑을 착용해야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려면 어패류는 85℃ 이상 가열해서 익혀 먹고, 새우와 같은 해산물을 다룰 때는 장갑을 착용한다. 보관은 5℃ 이하의 저온 보관을 해야 하며, 어패류를 조리할 때는 해수를 사용하지 말고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는다.

 

요리한 도마, 칼 등은 반드시 소독하고 사용하며, 피부에 상처가 있으면 바닷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만일 비브리오패혈증에 감염이 되었을 경우, 그에 따른 항생제와 적극적인 병변 절제를 통해서 치료를 해야 한다.


이에 질병관리본부는 각 지역 보건소와 함께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전단지를 제작하여 국민들에게 홍보하고, 여러 캠페인을 통해 예방 활동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해외여행객들도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은 치사율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BEST 뉴스

전체댓글 0

  • 0793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비브리오패혈증, 늦가을에도 발생할 수 있어 주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