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및 연휴 기간 동안 결식아동급식은 어떻게 해결할까?
보건복지부 결식아동 급식 업무 표준매뉴얼 제작
[한국급식산업신문] 한지애 기자 = 명절 연휴가 다가오고 있다. 기존의 방법으로 급식을 제공받던 아동들은 명절 연휴 때 어떻게 급식을 제공받을 수 있을까?
보건복지부는 명절 및 연휴 기간에 결식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식아동 급식 업무 표준매뉴얼>을 제작하였다. 그중 명절, 연휴 기간, 폭설, 자연재해 시 결식아동에 대한 급식을 어떻게 해결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결식아동 수를 파악하고, 도시락 배달과 식품권을 제공한다
1. 결식아동 대책 기간 : 명절 등 연휴 기간을 기준으로 연휴 전, 후 기존 급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 폭설 및 자연재해로 불가피하게 기존 급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을 결식아동 특별 급식 대책 기간이라 한다.
2. 특별 급식 계획 : 기존에 급식소나 식당을 이용하는 아동은 명절 연휴 기간에 문을 여는지 확인하고, 만일 문을 열지 않을 경우 아동에게 그 상황을 주지시킨다. 그리고 부식과 밑반찬을 아동에게 충분히 제공하고, 미리 식품을 구입할 수 있는 식품권을 제공한다.
3. 도시락 배달 : 도시락 배달을 이용하는 아동의 경우, 명절 연휴 기간에 도시락 배달업체에서 도시락 대신 떡국용 떡 등 다른 대체식품을 계획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도시락 배달업체와 연휴 기간의 급식 제공 내용을 명확히 계약하고 확인하며, 설날 연휴에 적합한 급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치한다.
4. 식품권 제공 : 만일 도시락 배달업체에서 도시락 대신 반찬류 등 다른 대체식품을 준비하지 않을 경우, 아동 욕구에 맞는 부식이나 밑반찬, 식품을 구입할 수 있는 식품권을 급식 제공 아동에게 충분히 제공한다. 명절 전에 미리 쌀, 떡국용 떡, 반찬 등을 구입할 수 있도록 식품권을 제공하되, 제공된 식품권을 쌀, 반찬 등의 용도 이외의 타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숙지시킨다.
5. 편의점 급식 : 연휴 기간 동안 영업하는 가맹점을 파악하여 기존 식당, 단체급식소 등을 이용한 아동에게 급식 제공 대체 수단으로 사전 통지하고, 명절 전까지 연휴 기간의 부식을 사전에 제공한다.
6. 이웃 주민 전달 : 명절 등 연휴 기간에 급식 제공 아동에게 급식을 제공할 수 있는 이웃 주민을 사전에 파악하여 아동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아동에게 급식을 제공한 이웃 주민에게 급식비를 지급한다.
7. 자원봉사자 활용 : 아동의 특별 급식 대상자를 발굴하여, 급식 방법 등을 위해 지역사회 부녀회, 청년회, 시민, 종교단체, 민간 아동급식 전문가를 활용한 아동급식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8. 위생관리 철저 : 명절 연휴 기간 동안 급식아동에게 많은 양의 부식이나 밑반찬이 한꺼번에 제공되면 음식물이 상할 염려가 있으므로 냉장보관이 가능한지 미리 확인하고, 냉장 보관을 하도록 주지시킨다.
9. 행정사항 : 시・군・구는 현행 급식을 제공받던 아동들에 대한 급식 방법을 점검 실시하고, 관할 담당 공무원, 급식업체 및 급식기관이 사전에 협의하여 명절 아동급식 계획을 수립한다. 그리고 그 내용을 명절 2주 전에 시・도로 보고한다.
10. 현장 점검 실시 : 명절 연휴 기간에 기존의 급식 방법을 변경해야 하는 급식아동 수를 파악하고, 명절 연휴 기간에 고향에 내려가는 아동은 급식을 제외한다. 급식이 필요한 아동은 적절한 급식 방법을 강구하고, 시・도, 시・군・구는 명절 연휴 기간 동안 아동의 급식 상황을 수시로 점검한다.
11. 시.도 결식아동 급식지원 담당부서 연락처
서울 가족담당관 02-2133-5183
부산 아동청소년과 051-888-1654
대구 청소년과 053-803-5893
인천 아동청소년과 032-440-2857
광주 여성가족정책관 062-613-2315
대전 교육복지청소년과 042-270-0883
울산 복지인구정책과 052-229-3432
세종 여성아동청소년과 044-300-3726
경기 아동청소년과 031-8008-2567
강원 복지정책과 033-249-2455
충북 복지정책과 043-220-3043
충남 출산보육정책과 041-635-4547
전북 여성청소년과 063-280-4788
전남 여성가족정책관 061-286-5936
경북 여성가족정책관 054-880-4592
경남 여성가족정책관 055-211-2265
제주 여성가족청소년과 064-710-2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