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2-08-11(토)
 


[한국급식산업신문 김지윤 기자] = 국내 프랜차이즈 산업 규모는 약 115조 원으로 매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독립 창업도 있지만 자신이 유망한 창업 아이템을 가지고 프랜차이즈 가맹사업을 하고 싶어 하는 이들도 점차 늘고 있다.

 

 

1.jpg

 

 

하지만 아무런 노하우 없이 소위 말하는 뜨고 있는 아이템만을 가지고 가맹본부를 설립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프랜차이즈 사업의 실패 시 그 책임과 피해는 본사뿐만 아니라 가맹점 사업자에게까지 연쇄적으로 이어진다는 데 있다.

 

따라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가맹사업에 대한 책임감과 사명감이 반드시 요구되는 상황이며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프랜차이즈 가맹본부를 운영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조건들을 갖추고 가맹사업을 전개해야 한다.



첫째, 사업자등록을 할 때 업태와 종목을 파악한다

 

사업을 하려는 모든 사업자는 기본적으로 사업의 형태에 따라 업태와 종목을 선정하여 사업자등록증을 발급받아야 한다.

 

가맹 사업의 경우 업태는 도매나 제조, 종목은 프랜차이즈인 식품유통 등을 많이 선택한다. 업태와 종목은 향후 가맹사업의 목표까지 따져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다.

 


둘째, 개인 또는 법인 형태를 결정해야 한다

 

보통 가맹 사업자들은 법인 가맹 사업 형태를 선호하는데 가맹희망자 상담 시 가맹본부에 대한 신뢰를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인사업자에 비해 세무처리가 복잡하고 법인 변경사항이 발생할 경우 절차가 복잡한 만큼 가맹 사업의 진행 속도와 방향을 고려하여 기업형태를 선택해야 한다.

 


셋째, 상표 출원을 해야 한다

 

가맹점 사업자가 상호‧상표 등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가맹비, 로열티 등을 받을 수 있도록 브랜드 이미지와 상호 등 상표출원을 해야 한다.

 

이때 디자인을 너무 앞세우다 보면 상표출원 요건에 맞지 않고, 상표출원 요건만 고려하다 보면 브랜드의 특성을 부각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단계에서부터 디자인 요소와 상표출원 요건을 갖춘 브랜드를 개발한다면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만약 해외 진출까지 생각하고 있다면 지적재산권 확보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중국의 경우 상표권을 먼저 출원한 사람에게 권리를 주는 선출원 우선 제도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를 악용하면 쉽게 국내 업체의 상표권을 선점할 수 있기 때문에 특허청에서 지원하는 국제 지적재산권 분쟁 예방 컨설팅이나 지적재산권의 소송보험 등을 통해 대비하는 것이 좋다.

 

 

넷째, 공정 거래 위원회에 등록 심사를 받아야 한다

 

프랜차이즈 가맹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가맹 본부의 가맹 사업 관련 내용을 적은 정보공개서와 가맹 계약서를 공정 거래 위원회에 제출하고 등록 심사를 받아야 한다. 심사 통과 후 가맹사업 등록증이 발급되면 그때부터 가맹점 모집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정보공개서를 등록하지 않고 가맹 계약을 체결할 경우 매출액의 2/100 또는 5억 원 이내의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다섯째, 가맹사업을 시작하려는 가맹본부는 가맹금 예치 계좌를 만들어야 한다

 

가맹사업법에 따라 가맹사업자의 판단‧착오 또는 가맹본부의 불법행위로 인한 계약으로 손해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가맹점 사업자의 가맹금 을 금융기관에 예치하도록 하고 있다.

 

만약 서울보증보험 등에 가맹점 사업자 피해 보상 보험 계약을 체결한다면 가맹금을 직접 수령할 수 있다. 가맹본부의 프랜차이즈 가맹사업목적은 가맹점 확장을 통한 수익창출이다.

 

하지만 많은 가맹본부들이 가맹 사업 개시 후 1년을 버티지 못하고 사라지고 있다. 이는 가맹점 모집에 대한 성과물이 없기 때문인데 이에 가맹 사업자는 사업 시작부터 가맹점 모집에 대한 목표를 명확히 하고 이에 따른 전략과 홍보 방안을 준비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1년 이상 가맹사업을 진행해 직영점 1개와 가맹점 10개를 운영하게 되었다면 소상공인 시장 진흥 공단에서 진행하는 프랜차이즈 수준평가를 신청하는 것이 좋다.

 

가맹본부의 경영 진단‧취약점 분석 등을 받아볼 수 있고 수준평가에서 우수 프랜차이즈로 지정될 경우 브랜드 이미지 향상뿐 아니라 홍보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수백에서 수천만 원의 비용을 투자해도 가맹사업에 대한 성공을 보장받을 수 없다. 하지만 보다 철저한 준비와 치밀한 전략을 세운다면 가맹본부 창업 성공의 꿈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관련 영상은 아래 URL로 들어가면 자세히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7o1gC8W6rsI


 

BEST 뉴스

전체댓글 0

  • 8110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프랜차이즈 본사 설립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